728x90

(1) 문제

대학생 새내기들의 90%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


(2) 입력

  •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
  • 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1 ≤ N ≤ 1000, N은 정수)이 첫 수로 주어지고,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3) 출력

  •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변수를 입력받는 방법
length = int(input())
average = []

for i in range(0, length):
    class_score = 0
    class_average = 0
    class_over_count = 0

    score = input().split()
    for j in (range(0, int(score[0]))):
        class_score += int(score[j + 1])

    class_average = class_score / int(score[0])

    for j in (range(0, int(score[0]))):
        if int(score[j + 1]) > class_average:
            class_over_count += 1
    # print(float(class_over_count))
    average.append((float(class_over_count) / float(score[0]) * 100))

for i in range(0, len(average)):
    print('%.3f' % average[i] + '%')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3) 출력

  •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변수를 입력받는 방법
num = input()

count = 0

str_num = str(num)
init_num = str(num)
num_temp = ''

    
while True:
    if len(str_num) == 1:
        str_num = str(0) + str_num      

    num_temp = int(str_num[0]) + int(str_num[1])    

    if len(str(num_temp)) == 1:
        num_temp = str(0) + str(num_temp)

    str_num = str_num[1] + str(num_temp)[1]
    count += 1

    if int(init_num) == int(str_num):
        print(count)
        break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출력

  • 첫째 줄에 상근이가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할 때, 설정해야 하는 알람 시간을 출력한다. (입력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면 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변수를 입력받는 방법
H,M = input().split()

#문자를 숫자로
H = int(H)
M = int(M)

#풀이
if M < 45 and M >= 0:
    if H < 24 and H > 0:
        H = H - int(1)
        M = int(60) + (M - int(45))
        print(H,M)
    elif H == int(0):
        H = 23
        M = int(60) + (M - int(45))
        print(H,M)
elif M >= 45 and M < 60:
    M = M - int(45)
    print(H,M)

(6) 실행결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