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문제

(세 자리 수) × (세 자리 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1)과 (2)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주어질 때 (3), (4), (5), (6)위치에 들어갈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1)의 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둘째 줄에 (2)의 위치에 들어갈 세자리 자연수가 주어진다.

(3) 출력

  •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차례대로 (3), (4), (5), (6)에 들어갈 값을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변수를 입력받는 방법
a = input()
b = input()

#문자를 숫자로
a = int(a)

#곱하기 구하기
#b의 마지막 자리
b_first = int(b[0])
b_second = int(b[1])
b_third = int(b[2])

first = a * b_first
second = a * b_second
third = a * b_third

#풀이
print(third)
print(second)
print(first)

print(a * int(b))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WIL(Weekly I Learned) 시작

  • 3월 1일, 빨간날과 상관없이 항해 99가 시작되었습니다.
  • 공식적으론 아침 9시 ~ 저녁 9시까지 공부를 해야 한다고 나와있지만 부족한 점이 많기에 아침 9시 ~ 새벽(자기전) 까지 계속 진행되었습니다.
  • 항해 99를 시작 하기 전 웹 개발에 대해 지식을 조금이나마 채울 수 있도록 항해 99에선 웹 개발 종합반 수업을 열어 사전학습을 하도록 한 후 3월 1일 부터 바로 3명의 랜덤 팀원들과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1주일 간 배운 것을 회고할 수 있도록 WIL을 추천하여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2) 일정

  • 3/1 ~ 3/4 - 팀 배정 및 웹 개발 미니 프로젝트
  • 3/5 - 3/1 ~ 3/4 동안 만들었던 미니 프로젝트 발표 및 팀 배정
  • 3/6 ~ 알고리즘 문제풀이

(3) 배운점


(4) 미니 프로젝트

 


(5) 느낀점

  • 팀 배정을 받은 후 3/4일 자정까지 부족한 시간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공대생 3명으로 이루어진 팀이여서 그런지 프로젝트 완성 후에도 디자인이 너무 투박해 아쉬운 면도 있지만 팀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했다는 것이 만족스러웠습니다.
  •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JWT를 사용하라는 조건이 있어 JWT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게되었으며, 또 한번 사용해보게 되어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또한 조건에 없는 경우에도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필요한기능을 하나 둘 씩 생각하고 찾아보면서 몰랐던 부분을 새롭게 알게되었고, 혼자 아침 9 시부터 자기전 까지 계속 컴퓨터 앞에 앉아 공부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데 Gather을 통해 마이크, 웹캠을 키고 진행을 하게 되어 온라인이지만 오프라인에서 공부하는 느낌이 들어 팀원들과 힘을 내 매일매일 9시부터 자기전까지 개발을 할 수 있었습니다.
  • 3/5일 다른 팀 총 32개조의 미니 프로젝트를 보면서 여러 아이디어를 보며 사전학습에 배웠던 '크롤링'만으로 여러 가지를 할 수 있구나를 보며 신기했습니다.
  • 3/6일 부터 알고리즘 주차가 시작되었습니다. 항해 99 튜터 분들이 정해 놓은 문제를 하나 둘 씩 풀면서 푼 문제는 팀원들과 코드리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경우 서로 도와주며 진행하고있으나, 아직 쉬운문제이기에 다음주에는 항해 99에서 열어준 알고리즘 수업을 듣고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갈 예정입니다.

반응형
728x90

(1) 강의내용

  • AWS
    • AWS 서버 구매하기
    • 서버 세팅하기
    • flask 서버 실행해보기
    • AWS에서 포트 열어주기
    • Robo3T에서 DB연동
    • 포트 포워딩
    • nohup 설정하기
  • 도메인 구입
  • og 태그 만들기
  • 5주차 숙제
    • 도메인 올리기

(2) AWS

  • EC2 서버 구매하기
    1. aws.amazon.com/ko/ <- aws링크에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EC2를 사용하여 클릭
    3. Ubuntu Server 18.04 LTS(HVM), SSD Volume Type - 64비트(x86) 선택
    4. 검토 및 시작
    5. Key Pair를 저장 후 런치
  • EC2 서버에 접속하기
    • git bash로 입력
    • ssh -i 받은키페어를끌어다놓기 ubuntu@AWS에적힌내아이피

 

 

  • 서버 세팅하기
    1. Filezilla 실행
    2. Connect 버튼 클릭
    3. New Site 버튼 클릭
    4. Protocol : SFTP, Host : AWS에 적힌 아이피, Port : 22, Logon Type : Key File, User : ubuntu,                                     Key File : Key pair 위치
    5. Filezilla에 아래 initial_ec2.sh 다운
    6. sudo chmod 755 initial_ec2.sh 로 환경 세팅
  • AWS에서 포트 열어주기
    1. EC2 관리 콘솔로 이동
    2. 해당 인스턴스 클릭
    3. 보안 클릭
    4. 보안 그룹 클릭
    5. 인바운드 규칙 편집
      • HTTP / TCP / 80 / 사용자 지정 / 0.0.0.0/0
      • HTTP / TCP / 80 / 사용자 지정 / ::/0
      • SSH / TCP / 22 / 사용자 지정 / 0.0.0.0/0
      • 사용자 지정 TCP / TCP / 5000 / 사용자지정 / 0.0.0.0/0
      • 사용자 지정 TCP / TCP / 5000 / 사용자지정 / ::/0
      • 사용자 지정 TCP / TCP / 27017 / 사용자지정 / 0.0.0.0/0
      • 사용자 지정 TCP / TCP / 27017 / 사용자지정 / ::/0
  • Robo3T DB 연동
    1. Connect 클릭
    2. Create 클릭
    3. Connection Settings
      • Connection
        • Type : Direct Connection
        • Name : dbName
        • Address : AWS에 적힌 아이피 : 27017
      • Authentication
        • Perform authentication 체크
        • Database : admin
        • User Name : test
        • Password : test
    4. Test 후 저장
    5. Python Code 변경
client = MongoClient('mongodb://test:test@localhost', 27017)
  • nohup 설정하기
    • nohup이란? SSH 접속을 끊어도 서버가 계속 동작하고 있음
# 아래의 명령어로 실행하면 된다
nohup python app.py &

# 아래 명령어로 미리 pid 값(프로세스 번호)을 본다
ps -ef | grep 'app.py'

# 아래 명령어로 특정 프로세스를 죽인다
kill -9 [pid값]

 

initial_ec2.sh
0.00MB


(2) 도메인 구입하기

  • 도메인 구입/연결
    1. www.gabia.com/ <- 가비아링크에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도메인 구입
    3. DNS 관리 툴 클릭
    4. 해당 도메인 설정 클릭
    5. 값/위치 에 IP 작성 후 저장

(3) og 태그

  • Code
<meta property="og:title" content="내 사이트의 제목"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보고 있는 페이지의 내용 요약"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 url_for('static', filename='ogimage.png') }}" />
 

카카오계정 로그인

여기를 눌러 링크를 확인하세요.

accounts.kakao.com

 

공유 디버거 - Facebook for Developers

공유 디버거를 사용하면 Facebook에 공유될 때 콘텐츠가 표시되는 모습을 미리 보거나 오픈 그래프 태그를 사용하여 문제를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려면 Facebook에 로그인하세요.

developers.facebook.com


(4) 5주차 숙제


(5) 느낀점

드디어 마지막 5주차가 끝났습니다. 현재 취준생인 저로써는 하루에 1주차씩 5일정도를 소모하여 5주차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웹개발 종합반을 들으면서 대단한건 아니지만 처음부터 끝(도메인)까지 개발한 경험을 얻을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였고,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수업 커리큘럼이 잘 짜여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짧은 시간을 들여서 경험한 전체적인 틀을 조금조금씩 다루는 정도 여서 깊이는 조금 아쉬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