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문제

  •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3) 출력

  •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import sys
import math
tree_count, want_tre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tree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def binary_search(target, array):
    min_value = 0
    mid_value = 0
    max_value = max(tree)

    while min_value <= max_value:
        mid_value = (min_value + max_value) //2
        rest = 0
        for i in array:
            if i >= mid_value:
                rest += i - mid_value
        
        if rest >= want_tree:
            min_value = mid_value + 1
            
        else:
            max_value = mid_value - 1
            
    return max_value

print(binary_search(want_tree,tree))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y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y좌표가 같으면 x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3) 출력

  •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length = int(input())
point_list = []

for i in range(0,length):
    x,y = input().split()
    point_list.append([int(x),int(y)])

point_list.sort(key=lambda x: (x[1], x[0]))

for i in range(0, len(point_list)):
    print(point_list[i][0], point_list[i][1])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세 개의 장대가 있고 첫 번째 장대에는 반경이 서로 다른 n개의 원판이 쌓여 있다. 각 원판은 반경이 큰 순서대로 쌓여있다. 이제 수도승들이 다음 규칙에 따라 첫 번째 장대에서 세 번째 장대로 옮기려 한다.

  1. 한 번에 한 개의 원판만을 다른 탑으로 옮길 수 있다.
  2. 쌓아 놓은 원판은 항상 위의 것이 아래의 것보다 작아야 한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이동 순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단, 이동 횟수는 최소가 되어야 한다.

아래 그림은 원판이 5개인 경우의 예시이다.

 


(2) 입력

  • 첫째 줄에 첫 번째 장대에 쌓인 원판의 개수 N (1 ≤ N ≤ 20)이 주어진다.

 


(3) 출력

  • 첫째 줄에 옮긴 횟수 K를 출력한다.
  • 두 번째 줄부터 수행 과정을 출력한다. 두 번째 줄부터 K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 A B를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하는데, 이는 A번째 탑의 가장 위에 있는 원판을 B번째 탑의 가장 위로 옮긴다는 뜻이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n = int(input())

results = []
count = 0
def hanoi(N, src, dest, transfer):
    if N == 1:
        return results.append([src, dest])
    hanoi(N-1, src, transfer, dest)
    results.append([src, dest])
    hanoi(N-1, transfer, dest, src)

hanoi(n,1,3,2)

print(len(results))

for result in results:
    print(result[0], result[1])

(6) 실행결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