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문제

  • 재원이는 한 도시의 시장이 되었다. 이 도시에는 도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큰 일직선 모양의 강이 흐르고 있다. 하지만 재원이는 다리가 없어서 시민들이 강을 건너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음을 알고 다리를 짓기로 결심하였다. 강 주변에서 다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을 사이트라고 한다. 재원이는 강 주변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 강의 서쪽에는 N개의 사이트가 있고 동쪽에는 M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N ≤ M)
  • 재원이는 서쪽의 사이트와 동쪽의 사이트를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한 사이트에는 최대 한 개의 다리만 연결될 수 있다.) 재원이는 다리를 최대한 많이 지으려고 하기 때문에 서쪽의 사이트 개수만큼 (N개) 다리를 지으려고 한다. 다리끼리는 서로 겹쳐질 수 없다고 할 때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2) 입력

  •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강의 서쪽과 동쪽에 있는 사이트의 개수 정수 N, M (0 < N ≤ M < 30)이 주어진다.

(3) 출력

  •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주어진 조건하에 다리를 지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import sys
import math

def factorial(num):
    result = 1
    for i in range(1,num + 1):
        result *= i
    return result

length = int(sys.stdin.readline())

for i in range(length):
    left,right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print(factorial(right) // factorial(left) // factorial(right - left))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 자연수 N과 정수 K가 주어졌을 때 이항 계수 (NK)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N K가 주어진다. (1 ≤ N ≤ 10, 0 ≤ K  N)

 


(3) 출력

  • (NK)를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import sys
import math

n,r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def factorial(num):
    result = 1
    for i in range(1,num + 1):
        result *= i
    return result

print(int(factorial(n) / (factorial(n - r) * factorial(r))))

(6) 실행결과


반응형
728x90

(1) 문제

  • 두 자연수 A와 B에 대해서, A의 배수이면서 B의 배수인 자연수를 A와 B의 공배수라고 한다. 이런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최소공배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6과 15의 공배수는 30, 60, 90등이 있으며, 최소 공배수는 30이다.
  •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입력

  •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1,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T개의 줄에 걸쳐서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45,000)

 


(3) 출력

  • 첫째 줄부터 T개의 줄에 A와 B의 최소공배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4) 예제 입력 및 출력


(5) 코드

import math
import sys

length = int(sys.stdin.readline())

for i in range(length):
    a,b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_b_gcd = math.gcd(a,b)
    a_b_lcm = int(a * b / a_b_gcd)
    print(a_b_lcm)

(6) 실행결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