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개념

1.1 DB Lock 이란?

  • DB Lock은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같은 자원에 접근할 때 데이터 무결성(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
  • 쉽게 말해, 어떤 사용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사용자가 그 데이터를 동시에 수정하면 안 되기 때문에, ‘잠금’을 걸어서 충돌(Conflict)을 방지

1.2 왜 Lock이 필요한가?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DB를 사용하는 경우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수정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충돌 제어 및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1.3 언제 Lock을 사용하는가?

  • 사용해야 하는 경우!
    • 동시에 읽기/쓰기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중요한 테이블에 대해, 데이터 무결성을 엄격히 보장해야 할 때.
    • 은행 이체, 재고 관리, 주문 처리와 같이 동시에 발생하면 안 되는 시나리오를 제어할 때.
  • 주의해야할 점!
    • 불필요한 락은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
    • DeadLock!!
      • DeadLock발생 여부를 확인해야함!

1.4 Lock의 생명주기

1.4.1 트랜잭션 시작!

  • DB와의 트랜잭션을 시작
  • 아직 특정 자원에 대한 락이 획득된 상태는 🙅

1.4.2 Lock 획득

  1. 쿼리 요청
  2. Lock 체크
  3. 대기 혹은 Lock 획득

1.4.3 트랜잭션 종료

  1. 트랜잭션 커밋 혹은 롤백
  2. 락 해제

2. Lock 종류

2.1 낙관적 락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

  • 데이터베이스의 락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application 레벨에서 버전 관리
  •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별도의 락(lock)을 걸지 않고, 작업 완료 시점에서 데이터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충돌 여부를 판단 (@Version 활용)
  • 데이터 충돌이 거의 없을것이라고 가정한 경우 사용
    • LockModeType.OPTIMISTIC로 적용
  • 충돌 시 ObjectOpt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 발생

2.2 비관적 락 (충돌이 자주 발생할 것이라고 가정)

2.2.1 공유락(Shared Lock, S Lock)

  •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데이터를 읽기할 수 있지만, 쓰기 하려면 공유락을 해제하고 배타락으로 변경
  • 다른 트랜잭션이 쓰기하려 하면 대기 상태
    • LockModeType.PESSIMISTIC_READ로 적용

2.2.2 배타락(Exclusive Lock, X Lock)

  • 오직 한 트랜잭션만 해당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음
  •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려 하면 대기 상태
    • LockModeType.PESSIMISTIC_WRITE로 적용

2.3 분산 락

  • 여러 인스턴스나 분산 환경에서 락을 설정
  •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Lock을 걸지 않고, 외부에서 권한을 받아 처리
  • Redis, **Zookeeper 등... 을 활용하여 적용**

 

반응형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pring Security + OAuth 2.0 소셜 로그인  (1) 2025.01.16
[Spring] QueryDSL-JPA  (0) 2024.12.30
[Spring] @InitBinder  (0) 2021.08.08
[Spring] @Data 어노테이션  (0) 2021.06.30
[Spring] 영속성 컨텍스트 (Persistence Context)  (0) 2021.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