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1 애그리거트
- 백 개 이상의 테이블을 한 장의 ERD에 모두 표시하면 개별 테이블 간의 관계를 파악하느라 큰 틀에서 데이터구조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처럼, 도메인 객체 모델이 복잡해지면 개별 구성요소 위주로 모델을 이해하게 되고 전반적인 구조나 큰 수준에서 도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 애그리거트는 모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일관성을 관리하는 기준도 된다.
- 애그리거트는 관련된 모델을 하나로 모았기 때문에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라이프 사이클을 갖는다.
- 예시
- 주문 애그리거트
- Order(root), Orderer, OrderLine, ShippingInfo
- 위 애그리거트 상황에서, Order를 생성할 경우 ShippingInfo를 필수로 생성되어야 한다.
- 주문 애그리거트
- 예시
- 애그리거트는 경계를 갖는다. 애그리거트는 독립된 객체 군이며 각 애그리거트는 자기 자신을 관리할 뿐 다른 애그리거트를 관리하지 않는다.
- ’A가 B를 갖는다’로 설계할 수 있는 요구사항이더라도, 하나의 애그리거트로 묶으면 안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 예시) 상품과 리뷰의 관계
- 상품과 리뷰의 경우 리뷰가 변경되더라도 상품이 변경되지 않아도 되며, 반대또한 마찬가지 이므로 독립적인 관계이다.
- 예시) 상품과 리뷰의 관계
3.2 애그리거트 루트
- 애그리거트에 속한 모든 객체가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려면 애그리거트 전체를 관리할 주체가 필요한데, 이 책임을 지는 주체가 바로 애그리거트 루트 엔티티이다.
일관된 상태란?
- 총 금액인 totalAmounts를 갖고 있는 Order 엔티티
- 개별 구매 상품의 개수인 quantity와 금액인 price를 갖고 있는 OrderLine 밸류
위 상황인 경우 구매할 상품의 개수를 변경하게 되면 OrderLine의 quantity를 변경하고 더불어 Order의 totalAmounts도 변경해야한다. 이러한 상태를 일관된 상태 라고 한다.
3.2.1 도메인 규칙과 일관성
-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고 애그리거트 루트를 통해서만 도메인 로직을 구현하게 만들려면 도메인 모델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를 습관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 단순히 필드를 변경하는 set메서드를 공개(public) 범위로 만들지 않는다.
- 밸류 타입은 불변으로 구현한다.
public class Order {
private ShippingInfo shippingInfo;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verifyNotYetShipped();
setShippingInfo(newShippingInfo);
}
// set 메서드는 접근 허용 범위가 private이다.
private void set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this.shippingInfo = newShippingInfo;
// 불변이므로 아래와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this.shippingInfo.setAddress(newShippingInfo.getAddress());
}
}
3.2.2 애그리거트 루트의 기능 구현
- 애그리거트 루트는 애그리거트 내부의 다른 객체를 조합해서 기능을 완성한다.
- 애그리거트 루트가 구성요소의 상태만 참조하는 것이 아닌 기능 실행을 위임 하기도 한다.
3.2.3 트랜잭션 범위
- 애그리거트 내부에서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하면 안된다 이것은 애그리거트가 자신의 책임 범위를 넘어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까지 관리하는 꼴이 된다. 애그리거트는 최대한 독립적이어야 하는데 한 애그리거트가 다른 애그리거트의 기능에 의존하기 시작하면 애그리거트 간 결합도가 높아지며 결합도가 높아질수록 향후 수정 비용이 증가 한다.
- 한 트랜잭션에서 한 개의 애그리거트를 변경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다음 경우에는 한 트랜잭션에서 두 개 이상의 애그리거트를 변경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팀 표준 : 팀이나 조직의 표준에 따라 서비스 의 기능을 한 트랜잭션으로 실행해야하는 경우
- 기술 제약 : 기술적으로 이벤트 방식을 도입할 수 없는 경우 한 트랜잭션에서 다수의 애그리거트를 수정해서 일관성을 처리
- UI 구현의 편리 : 운영자의 편리함을 위해
3.3 리포지터리와 애그리거트
- 애그리거트는 개념상 완전한 한 개의 도메인 모델을 표현 하므로 객체의 영속성을 처리하는 리포지터리는 애그리거트 단위로 존재한다.
하나의 리포지터리로 애그리거트 단위를 컨트롤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FetchType을 Lazy로 관계를 설정? (효율성)
- QueryDsl과 같은 라이브러리로 필요한 필드만 조회?
3.4 ID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
- 애그리거트 간의 참조는 필드를 통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림 3.6 참고)
- 필드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는 다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편한 탐색 오용
- 한 애그리거트 내부에서 다른 애그리거트 객체에 접근할 수 있으면, 다른 애그리거트의 상태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 성능에 대한 고민
- 객체의 지연로딩과 즉시로딩에 대한 고민
- 확장 어려움
- 각 도메인마다 서로 다른 DB를 사용하게된다면, 단일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 편한 탐색 오용
- 필드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는 다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애그리거트 간 ID를 통해 간접 참조를 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림 3.7 참고)
- ID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간접 참조는, 위 필드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고의 단점을 일부분 해소할 수 있다.
편함 탐색 오용→ 애그리거트의 경계를 명확히 하여 애그리거트 간 물리적인 연결을 제거하기 때문에 모델의 복잡도를 낮춰준다.성능에 대한 고민→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한 애그리거트를 로딩하므로 애그리거트 수준에서 지연 로딩을 하는것과 동일한 결과를 만든다.확장의 어려움→ 애그리거트별로 다른 구현 기술을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
- ID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간접 참조는, 위 필드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고의 단점을 일부분 해소할 수 있다.
3.4.1 ID를 이용한 참조와 조회 성능
- ID를 이용한 애그리거트 참조는 지연 로딩과 같은 효과를 만드는데 지연 로딩과 관련된 대표적인 문제인 N+1 문제가 발생한다.
- JPQL, QueryDSL 등 라이브러리를 통한 한방쿼리를 통해 N + 1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애그리거트마다 서로 다른 저장소를 사용하면 한 번의 쿼리로 관련 애그리거트를 조회할 수 없다. 이때는 조회 성능을 높이기 위해 캐시를 적용하거나 조회 전용 저장소를 따로 구성한다.
3.5 애그리거트 간 집합 연관
- 1-N
- 개념적으로는 애그리거트 간에 1-N 연관이 있더라도 성능문제 때문에 애그리거트 간의 1-N 연관을 실제 구현에 반영하지 않는다.
//public class Category { // private Set<Product> products; // 1-N 관계 //}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CategoryId ctegoryId; }
- N-M
- N-M 연관을 구현하려면 조인 테이블을 사용한다.
3.6 애그리거트를 팩토리로 사용하기
- 애그리거트가 갖고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다른 애그리거트를 생성해야 한다면 애그리거트에 팩토리 메서드를 구현하는것을 고려해야 한다.
- Store 애그리거트가 Product 애그리거트를 생성할 때 많은 정보를 알아야 한다면 Store 애그리거트에서 Product 애그리거트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다른 팩토리에 위임하는 방법도 있다.
public class Store {
public Product createProduct(ProductId productId, ProductInfo pi) {
if (isBlocked()) {
throw new StoreBlockedExeption();
} return ProductFactory.create(newProductId.getId(), pi);
}
}
반응형
'Study > DD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2 아키텍처 개요 (0) | 2024.05.27 |
---|---|
DDD 용어 정리 (0) | 2024.05.17 |